본문 바로가기
사랑하며 살며

러시아의 이름과 약칭 및 애칭

by Дона 2007. 1. 7.

러시아에서 이름의 성은 15세기에 처음으로 기록이 된 것으로 서류 상에 남아 있습니다.

이 당시에는 최고의 귀족들만이 성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17세기까지만 해도 성을 갖는다는 것은 귀족들과 부유한 상인 들에게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17세기가 지나서야 평민들도 성을 가질 수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러시아의 모든 성들은 5개의 기원으로부터 유래가 되었습니다.

첫째는 러시아정교의 성인들의 이름으로부터, 둘째는 과거에 이름이나 별명으로 사용되던 것으로부터, 셋째는 직업으로부터, 넷째는 지명으로부터, 다섯째는 러시아정교의 휴일이나 특정한 것들로부터 기원되었습니다.

성인들의 이름으로부터 기원된 것은, 러시아정교의 성인인 이반으로부터 기원된 이바노프, 미하일로부터 기원된 미하일로프 등이 있습니다.

과거의 이름이나 별명으로부터 기원된 것은, 머리카락의 색이 붉어서 Рыжий (릐쥐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다가 릐조프, 절름발이여서 Храмой (흐라모이)에서 기원한 흐라모프 등입니다. 

직업으로부터 기원된 것은, 곡물 (Зерно-제르노)을 파는 상인은 제르노프, 대장장이인 경우에는 꾸즈녜쪼프 등입니다.

지명으로부터 기원된 것은, 볼가 강의 유역에 사는 이유로 볼긴, 모스크바 (마스끄바)에 산다고 해서 마스끄빈, 바이칼호수 근처에 산다고 해서 바이칼로프 등입니다.

정교의 특정한 것들로부터 기원된 것은, 정교의 크리스마스인 로즈뎨스뜨보에서 유래한 로즈뎨스뜨빈스끼 등입니다.

러시아에서 가장 많은 성으로는 이바노프, 바실리예프, 뻬뜨로프, 미하일로프, 표도로프, 야꼬블례프, 아드례예프, 알렉산드로프의 8개입니다.

 

옛날에는 러시아에서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이나 생김새에서 새와 비유되어 별명을 갖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러시아의 성에는 새의 이름들에서 기원된 성들이 많이 있습니다. 까마귀 (바로나)에서 유래된 바로닌, 참새 (바라베이)에서 유래된 바라비요프, 백조 (례비치)에서 유래된 례비제프, 독수리 (아룔)에서 유래된 아를로프, 까치 (싸로까)에서 유래된 싸로낀 등이 있습니다.

동물과 비유된 별명들이 많은 것은 세계 어디에서나 같으므로 러시아에서도 동물 이름에서 유래된 성도 또한 많이 있습니다. 곰 (몌드볘치)에서 유래된 몌드볘데프, 토끼 (자예츠)에서 유래된 자예쩨프, 여우 (리사)에서 유래된 리쏘프 또는 리씨쯘, 늑대 (볼크)에서 유래된 볼꼬프 등이 있습니다. 특히, 리씨쯘의 성을 가진 사람인 경우에 우스개로 러시아 사람들이 '당신 중국사람이냐'고 농담도 합니다. 리씨쯘이라는 성 자체가 중국사람의 이름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러시아에서는 거의 매 10년 단위로 유행하는 이름들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여성의 이름으로는 나탈리야, 타티야나, 올가, 옐례나, 스베틀라나, 남성의 이름으로는 세르게이, 안드레이, 알렉산드르, 유리 등이 유행하는 이름이었으나, 요즘은 여성의 이름으로는 안나, 다리야, 예카테리나, 옐리자비예따, 마리야, 남성의 이름으로는 막심, 일야, 이반, 니끼따, 표뜨르 등이 유행하는 이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한 교실에서 같은 성을 가진 학생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듯이 러시아에서는 같은 이름을 가진 학생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학교나 직장에서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있으면 달리 불러야 할 필요가 생기고, 주로 본인이 나를 이렇게 불러 달라고 얘길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름이 '옐례나'인 경우에 '례나'라고 불러달라든지 '알료나'라고 불러달라든지 그렇게 구분을 합니다. 학창 시절에 '례나'라고 불렸던 두 사람이 같은 직장에 소속이 되면 더 어린 사람을 '례나치까'라고 부르든지 또는 본인이 불러달라는 대로 다르게 부르든지 또는 동료들이 지어내 불러주기도 합니다.

러시아 사람들은 공식적인 경우 이외에는 이름 대신에 이름의 약칭 (Краткая форма имене)을 부르는데, 가족 간이나 친구 간에 부르는 호칭입니다. 가족 간이나 친구 간에 또는 가까운 사람들끼리 부르는 애칭 (Уменьшительно-аскательная форма имене)도 있습니다.

 

여성의 이름은,

 

나탈리야 - 나따샤 - 나따신까

안나 - 아냐 - 아녜치까

옐례나 - 례나 - 례나치까, 알료나

예카테리나 - 까챠 - 까츄샤

다리야 - 다샤 - 다신까

올가 - 올랴 - 올리치까

율리야 - 율랴 - 율리치까

빅토리야 - 비까 - 비꾸샤

류보피 - 류바 - 류바치까

나디예즈다 - 나쟈 - 나쥬샤

마리야 - 마샤 - 마신까

스베뜰라나 - 스비예따 - 스비예따치까

타티야나 - 따냐 - 따니치까

옐리자비예따 - 리자 - 리진까

이리나 - 이라 - 이르치까

베라 - 베라 - 베르치까

옥사나 - 크슈샤 - 악사나치까

크세니야 - 크슈샤 - 크슈시치까

알렉산드라 - 사샤, 슈라 - 사신까

루드밀라 - 류다 - 류더치까

마야 - 마야 - 마예치까

발레리야 - 례라 - 례라치까

안젤리카 - 리까 - 안젤리치까

예브게니야 - 제냐 - 제니치까

리디야 - 리다 - 리더치까

마가리타 - 리따 - 리떠치까

라이사 - 라야 - 라예치까

 

남성의 이름은,

 

바리스 - 보랴 - 보리치까

알렉산드르 - 사샤 - 사슐랴

이반 - 바냐 - 바니치까

미하일 - 미샤 - 미신까

블라디미르 - 발로쟈, 보바 - 보보치까

세르게이 - 세료자 - 세료진까

막심 - 막스 - 막시무쉬까

콘스딴띤 - 꼬스쨔 - 꼬시쩬까

유리 - 유라 - 유르치까

일야 - 일야 - 일루샤, 일루신까

니끼따 - 니크 - 니끼뚜시까

니콜라이 - 꼴랴 - 깔류냐

이고르 - 이고르 - 이가류샤

바실리이 - 바샤 - 바신까

그레고리 - 그리샤 - 그리신까

표뜨르 - 뻬쨔 - 뻬찐까

표도르 - 페쟈 - 페딘까

 

 

'나탈리야'라는 이름의 애칭이 '나따신까'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나따시까, 따샤, 나뚤랴, 따뜨까, 나뜨까, 나따하, 나따시치까, 나뚜샤, 나딸까 등도 나탈리야의 애칭입니다.

 

'사랑하며 살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나무 숲에서  (0) 2007.01.27
러시아의 초컬릿  (0) 2007.01.13
소비에트 연방의 학창시절  (0) 2007.01.12
러시아정교의 크리스마스  (0) 2007.01.06
Баба-яга - 전래동화  (0) 2006.12.15
검은 고양이가 앞을 가로질러 가면...  (0) 2006.11.28
샴 고양이 '쎄시'  (0) 2006.11.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