뻬쩨르부르그 시내에서 멀리 떨어진 남쪽 변두리의 을씨년스런 아파트지역, 다듬지 않은 수염에 덥수룩한 머리, 남루한 옷차림의 한 남자가 인근의 싸구려 상점으로 가서 몇가지 생필품을 사고는 약국에 들렀다 서둘러 아파트로 돌아 갑니다.
러시아의 천재 수학자, 위상기하학의 그리고리 뻬렐만 (Григорий Я. Перельман)은 1966년 6월 13일,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지금의 뻬쩨르부르크인 당시의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전기기사로 1993년에 이스라엘로 이민을 갔으나, 그리고리와 어머니는 뻬쩨르부르크에 남았습니다. 어머니는 전문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 평생을 재직했는데, 당시의 전문학교는 10학년제인 학교에서 8학년 후에 시험을 치러 대학에 진학을 할 수업능력이 되지 않는 학생들이 2년제의 전문학교에 가서 기술을 배워 취업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학교 였습니다.
뻬렐만은 수학과 물리학을 중점적으로 깊이 가르치는 제 239 학교에 입학을 하였으며, 1982년에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3회 수학 올림피아드에 러시아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42점 만점에 42점을 받았으며 가장 어려운 6문제를 모두 푼 유일한 학생으로 금메달을 수상했습니다.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한 학생에게는 입학시험이 없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는데, 그는 레닌그라드 국립대학의 수학과에 입학했습니다. 대학생활 내내 학과에서 줄곧 최고 성적을 유지했으며 최우수 장학생으로 매월 장학금을 받으며 지냈습니다. 졸업 시에도 최우수 성적으로 '붉은졸업장' 을 받았으며 수학전공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학, 졸업 후에는 교수로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습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미국으로 건너가서 대학 여러 곳에서 일했으며, 1996년에 러시아로 돌아와 물리수학 연구소에서 일했습니다.
1900년에 프랑스의 파리에서 있었던 수학자 모임에서 23개의 문제를 선정, 20세기에 풀어야 할 수학문제로 선정하였는데 그 중에 21문제는 풀렸고 2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는 가운데, 2000년 초 새천년을 맞아 클레이 수학학회는 수학분야의 7문제를 선정하여 각 문제들을 최초로 푸는 사람에게는 1백만 달러의 상금을 주기로 했습니다. 뻬렐만은 2002년,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1904년에 제시한 수학계의 난문제를 푸는데 착수하여 해법을 증명했습니다.
2005년 12월, 그는 돌연히 연구소를 떠나 모든 인간관계를 끊고 어머니와 외롭게 살기 시작했습니다. 수학과 물리학의 회의에도 참석하기를 거부했으며 방송이나 언론에 노출되기를 극도로 꺼리며 살고 있습니다. 새천년의 7문제 중의 하나인 푸앵카레의 해법으로 2006년에는 노벨상과 동등한 수학계 최고의 영예인 필즈메달의 수상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받았으나 수상을 거절했고, 저명한 사이언스 지에 수학자로는 처음으로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2007년에는 영국의 신문 데일리텔리그라프가 현존하는 100인의 천재를 선정했는데 러시아인 3명이 포함된 가운데 뻬렐만은 9위로 선정되었습니다.
2010년 3월 클레이 수학학회는 뻬렐만에게 1백만 달러의 상금을 '새천년의 문제를 푼 사람'으로 주기로 했으나, 그는 거절했고 학회는 지금껏 그가 받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초청을 받아 수학보다는 물리학에 가까운 해법을 증명하고 있는 뻬렐만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와도 같은 그의 은둔생활과, 뻬쩨르부르그의 외곽 흐루쇼프까 아파트에서 결혼도 하지 않고 나이들고 병든 어머니와 가난하게 살아가고 있는 그의 어려운 형편은, 마치 부랑자처럼 보이는 그의 외모 만큼이나 마치 난해한 수학문제 만큼이나 사람들이 이해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하지만, 그를 만난 소수의 사람들은 그의 탐구와 인생의 목표에 대한 확고한 그의 생각과 수학에 대한 그의 열정을 느낄 수 있으며 깊은 사고력과 성실하고 진심어린 태도에, 현재의 오해를 일으킬 수도 있는 외모로 그를 판단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합니다.
1백만 달러의 상금을 거절한 것을 두고 그는 우주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데 그 돈이 무슨 소용인가 라고 반문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우주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를 아는 사람은 그 밖에 없다고 말하며, 태초에 우주가 한 점에서 빅뱅으로 탄생할 때의 그 상태를 다시 되돌릴 수 있는 유일한 이론을 확립한 사람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는 비록 아주 낡은 아파트의 6층에 있는 3룸 플랫에서 미국에 살고있는 여동생이 가끔씩 보내 주는 돈으로 생활을 이어가며 옷 한벌로 혹독한 러시아의 겨울을 견뎌내고 아파트 유지비와 어머니 병원비를 걱정해야 하지만, 가까운 이웃에 친절하고 지나치며 인사하고 이웃에 도움이 필요하면 도와주며 지내는 따뜻한 마음의 소박한 러시아 사람입니다.
'사랑하며 살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 졸업장 (0) | 2012.08.03 |
---|---|
모스크바 2012년 여름 (0) | 2012.07.01 |
어디쯤 가고 있을까 (0) | 2012.05.26 |
러시아 육상선수들의 결실 (0) | 2011.09.04 |
20Km 경보 금메달 Ольга Каниськина (올가 까니시끼나) (0) | 2011.09.03 |
모스크바 2011년 여름 (0) | 2011.08.06 |
동유럽의 국가들 (0) | 2011.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