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산타클로스는 Дед Мороз (젯 마로스) 라고 불립니다.
Father Frost 또는Grandfather Frost 라고 영어로 번역되는데, '모든 것을 얼리는 할아버지' 라는 의미입니다.
러시아에서는 내일 11월 18일이 Дед Мороз 의 생일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Дед Мороз 가 사는 마을은 러시아 북쪽의 아주 오래된 역사 깊은 마을로서 고대의 목조건축물들이 남아있고 전설과 신화가 남아있는 마을인 Великий Устюг 이라는 마을입니다.
항상 겨울은 이 마을에서부터 시작되어, 다른 마을들과 도시들에서 '겨울이 온다' 고 할 때에는 러시아의 이 마을로부터 겨울이 각 마을들과 도시들로 내려 온다고 하는 의미 입니다. 이 마을은 12월 부터 3월 까지 수 많은 사람들이 축제참가와 관광으로 방문하는 곳 입니다.
러시아의 Дед Мороз 는 2000년 이상의 역사 속에 전설로 나타나는 오래 된 민화로서, 가장 일반적인 전설은 슬라브족 사람들은 돌아가신 조상들이 후손들의 가족과 건강과 집과 가축을 지켜주며 기후를 그에 맞도록 지켜준다고 믿었고 이에 감사하기 위해 겨울마다 감사의 축제를 지냈다고 하는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것 입니다. 이 날에는 조상의 신령으로 분장한 사람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축복을 해 주었는데 그들 중에서 가장 엄숙하고 진지한 모습의 할아버지에서 Дед Мороз 의 모습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다른 설 로는, Дед Мороз 는 러시아의 민속동화에서 유래 되었다고 하는데, 민속동화에는 Дед Мороз 가 겨울의 기후를 통제하는 희고 긴 수염을 가진 할아버지로 묘사되며 11월에서 3월까지는 땅의 주인으로 태양도 그를 두려워 하여 오래 얼굴을 드러내지 못해 낮 길이도 짧아졌다고 합니다. 러시아의 민속동화에서
Дед Мороз 의 아내는 겨울이며, 겨울이 오기 전에 가을에 일반적으로 한 가족의 가장이 큰 숟가락에 Кисель (끼셀-베리로 만든 걸쭉한 러시아의 음료)을 담아 'Мороз, Мороз,우리 농작물을 지켜 주세요. 이것을 드시고 소도 겨울 동안 얼지 않게 해 주세요' 하고 기원하기도 했습니다.
또 다른 설 로는, 번개와 천둥의 신, 살을 에는 찬바람의 신, 흙과 땅 속을 얼리는 신의 3 신이 합쳐진 성격이 Дед Мороз
의 기원이 되었다고 하는 것 입니다.
Дед Мороз 의 전통적인 모습은 온화하게 보이는 길고 숱 많은 흰수염으로, 러시아에서 흰수염은 행복과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셔츠와 바지는 흰색으로 흰색은 순수함의 상징이며, 털외투는 발까지 내려오는 긴 외투로 전통적으로는 붉은 색에 은실로 수를 놓고 백조의 깃으로 장식되었으며, 외투에는 단추가 없었습니다. 모자의 색은 외투의 색과 동일하게 맞추었으며, 세 손가락의 벙어리장갑을 끼었고, 장화는 발렌끼 또는 은색이나 흰색의 장화를 신었으며, 은색의 지팡이를 가지고 다녔습니다.
Дед Мороз 는 Тройка (트로이카) 라고 하는 세 마리의 말이 끄는 썰매를 타고 다니며, Снегурочка (스녜구로치까) 라고 불리는 손녀딸과 항상 함께 다닙니다. Снегурочка 의 기원은 19세기 중반에 출판된 책에 등장하는 '눈으로 만들어진 소녀'에서 유래하였습니다.
Дед Мороз 는 매년마다 자신은 너무 늙었다고 하며 선물주머니가 너무 무거워 들고 다니기 힘겹다고 하면서, 손녀가 많이 도와준다고 하고 손녀에게 물어보라고 하는 등으로 Снегурочка 를 많이 돋보이게 합니다.
전통적으로 Дед Мороз 는 공정하지만 아주 엄격하고 혹독한 할아버지로서 화가 나면 아주 심한 겨울을 내려 보내는 겨울의 정령이었는데, 요즘은 Дед Мороз 가 아주 친절하고 좋은 할아버지 이미지로 바뀌었습니다.
'사랑하며 살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사람 (0) | 2011.02.09 |
---|---|
모스크바의 크리스마스 (0) | 2011.01.08 |
러시아정교의 세례식 (0) | 2010.11.26 |
낡고 구멍이 난 장화 (0) | 2010.10.30 |
러시아의 전래동화 МОРОЗКО (0) | 2010.10.25 |
구세주그리스도 성당 (храм Христа Спасителя) (0) | 2010.09.14 |
러시아의 결혼식 (0) | 2010.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