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랄산맥에는 Отортен 이라는 산이 하나 있는데, 그 산은 옛날 부터 신비한 곳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 주변에 사는 부족들의 언어로 Отортен 은 '거기에 가지마라' 라는 뜻이라고 하며, 전설에 따르면 그 부족의 사냥꾼 9명이 그 산에서 아주 밝게 빛나는 끓는 물에 죽었으므로 '9명이 죽은 산' 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역사적으로 그 곳에서는 여러 신비한 일들이 일어나곤 했었는데, 2012년 6월에 러시아의 작은 여객기 한 대가 조종사와 12명의 승객과 함께 그 산에서 실종되는 일이 발생, 더욱 사람들의 시선이 모이게 되었고 관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1959년 1월 23일, 우랄 산맥의 북쪽에 위치한 이 산에 10명의 전문 스키등반대가 탐험을 갔었는데, 리더는 23 살의 Игорь Дятлов 로 여성도 2명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동안 함께 오래 여러 곳의 산악등반을 해와 경험도 많았으며 가깝게 가족처럼 서로 잘 알고 서로의 장비들과 쓰는 비누 조차도 누가 어떤 것을 쓰는지를 잘 아는 사이 였습니다. 팀에서 가장 나이 어린 사람은 20살 이었고 37살의 엔지니어가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이었는데, 등반 루트를 정할 때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항상 어려운 루트를 선택하고 새로 개척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이 등반에서는 계획에 따르면 스키로 350킬로미터를 오르게 되어 있었고, 2월 14일 이전에 등반을 마치고 목적지에 도착해 전보를 보내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등반을 시작하기 바로 전에 1명이 통풍으로 다리에 심한 통증이 생겨 팀에 참여하지 못했고, 결국 9명 만이 등반을 시작 했습니다. 루트의 도중에 다른 팀과 만나기로 약속을 했었는데 그 장소에 이 팀은 나타나지 않았고, 그렇게 실종되고 말았습니다. 2월 18일이 지나도 아무 연락도 없자 구조대가 조직되어 수색이 시작되었고 24일에는 그 지방의 사냥꾼들도 합류해서 수색을 했는데, 마침내 2월 26일 1079미터 고지에서 그 팀의 텐트가 발견되었지만 텐트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수색대가 텐트를 발견했을 때, 텐트에는 이상한 점들이 많았습니다. 각자의 지갑을 비롯한 모든 물품들이 텐트 속에 남아 있었고 텐트 문이 열려 있었음에도 텐트가 안으로부터 칼로 잘려져 있었으며 맨발의 발자국들이 텐트에서 아래 쪽 숲으로 나 있었습니다. 수색대는 약 1.5킬로미터 반경을 중심으로 우선 수색을 시작했는데, 반경 내에서 5명의 동사한 시신을 발견 했습니다. 다른 4명은 눈이 녹고 난 후인 5월에 발견 되었습니다.
우랄 산맥의 북쪽인 그 추운 2월 영하 30도의 기온에 시신의 대부분이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이었으며 절반은 거의 옷도 입지 않은 나체 였습니다. 사인은 모두 동사였지만, 가장 나이가 어린 20살의 Людмила Дубинина 는 두 눈동자가 사라지고 혀도 사라지고 없었으며 갈비뼈가 좌우 대칭적으로 부러져 있었고, Н. Тибо-бриньоля 는 머리뼈가 손바닥 만한 크기로 함몰되어 있었으며, С. Золотарев 는 우측의 갈비뼈가 여러개 부러져 있었고, 텐트에서 1.5킬로미터 떨어진 280미터 슬로프 아래에서 발견된 Ю. Дорошенко 와 Ю. Кривонищенко 는 모두 몸에 탄 자국이 있었으며 머리와 발바닥에도 탄 자국이 있었는데 큰 나무의 밑에 누운 채로 발견되었고 나무에는 5미터 높이에 칼자국이 있는 것이 발견 되었습니다. 모두가 내복차림이거나 맨몸이었고 이들 모두가 속으로는 뼈가 부러지고 내부 장기가 피로 범벅이 되고 했지만 피부에는 어떠한 외상도 없었으며 텐트 주위에는 어떠한 혈흔이나 싸운 흔적도 없었습니다.
등반대가 가지고 있던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이 나중에 현상 되었는데, 그들은 저녁 식사를 하던 중에 어떤 일로 인해 식사를 마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무슨 일 때문인지 안쪽에서 칼로 텐트를 자르고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났다는 추정이 발표 되었습니다. 시신들이 병원으로 후송된 후에 검시에서 모든 시신들이 오렌지색인 이유는 아주 낮은 온도에서 동사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색이라고 판명되었지만, 여러 가지의 기이한 현상들이 설명될 수 없는 것으로 남았습니다. 나체로 불 피웠던 곳 주위에 누운 채로 죽어 있었던 시신 2구는 발견 당시의 모습이 달려가는 모습과 같은 이상한 모습이었고, 죽은 시신에서 나타난 반점이 가만히 누워 있었던 시신이 아니라 눕혔다가 엎었다가 하는 것을 반복한 시신에서만 나타날 수 있는 모습으로 반점이 퍼져 있었고, Дубинина 의 혀가 사라진 것은 야생 동물이 거칠게 한게 아니라 입 안의 혀를 비롯한 모든 것이 아주 정교하게 제거 되었다는 것과, 텐트를 발견 했을 때 왜 경험이 많은 등반가들이 신발도 신지 않은 채로 맨발이나 양말 차림으로 밖으로 나갔는지도 의문으로 남았습니다. 이후에 60팀이 넘는 많은 아마츄어 등반가들이 같은 장소에서 등반을 하면서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지를 밝히려고 시도 했었지만 아무런 의문점도 해소하지 못했습니다.
우랄산맥 빽빽한 숲 타이가 지역의 신비한 지형과 그 지방에 사는 부족들이 이 산을 신성시 하고 있어 등반하는 사람들을 살해한다는 의문점도 제기 되었지만 7명의 건장한 남자들이 싸운 흔적이 전혀 없이 이상하게 죽었다는 것과, 사건 후에 부족의 사냥꾼들이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지만 쉽게 풀려난 것도 당시의 소비에트 연방에서 일단 감금되면 쉽게 풀려나기는 쉽지 않았다는 정황과 함께, 사냥꾼들을 쉽게 풀어주었을 때는 그들이 아니었다는 확실한 다른 무엇인가를 알고 있었다는 것으로 보인다는 설도 있습니다.
1959년 에서 1961년 까지 소비에트 연방은 미국 및 영국과 핵무기 실험 금지 조약을 맺었고 실제로 러시아에서 핵실험은 없었다고 하지만 북 우랄지방에서 신 개발 비밀 무기를 시험했을 수도 있으며 이들이 그것을 목격한 탓으로 살해될 수 밖에 없었다는 설도 등장 했습니다. 어쨋든 소비에트 연방 정부는 1959년 여름 부터 이 지역을 출입금지 지역으로 선포 했으며 KGB 가 시신 2구에 대한 정밀 조사를 했다는 설도 퍼져 더욱 의문을 가중 시켰습니다. 1960년 5월에는 그곳에서 500킬로미터 떨어진 남쪽에서 미국의 첩보 항공기가 소비에트 연방의 항공포 공격을 받고 추락한 일도 있어 모든 이런 사실과 예측들로 인해 신무기 개발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는 설로 되어 왔습니다.
사건이 종료된 후에 결말은, 사인은 '미지의 자연력에 항거할 수 없는 죽음' 으로 발표 되었습니다. 구조대가 텐트를 발견 했을 때 등반대가 가지고 있던 카메라 2대를 발견했고 많은 사진들을 현상해서 출발부터 그동안의 여정과 당일 텐트를 세우고 저녁식사를 하는 모습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일기를 쓴 내용도 발견 되었는데 그저 평범한 등반 일지 였습니다. 거의 마지막 사진이라고 보이는 사진에서는 텐트 속에 있는 사람을 찍은 사진에 텐트를 통해 뒤에 굉장히 밝은 둥근 빛이 보이는데 그것을 증거로 일부 사람들은 UFO 가 나타 났었다는 설을 펴는 사람들도 있었고, 그 당시에 주변에 사는 사람들도 같은 빛을 목격 했었다는 진술도 있었습니다. 텐트의 서쪽에서 둥근 자국의 눌린 눈 자국이 발견 되었으며 둥글게 탄 자국에서는 수년 후 까지도 풀이 자라지 않았다는 얘기도 있었습니다.
사건이 있은 후 증인들이나 수색대에 참여했던 사람들 중 여러 사람이 사고로 죽었는데, 시신을 찍었던 사진가는 부인과 함께 자동차 사고로 죽었고, 이 조사에 참여했고 정보를 공유했던 한 KGB 요원은 다차의 바냐에서 자살을 한 것으로 보도 되기도 했습니다.
1960년과 1961년에는 3대의 항공기가 이 산에 추락해 지질학자 등 여러 명이 죽는 사건이 연이었습니다.
갑작스런 통풍으로 등반대에 참여하지 못했던 1명의 대원은, 이 사건 이후에 텐트 안에서 발견된 안경이 시력이 아주 낮은 사람이 착용하는 안경이었지만 실제 팀에는 시력이 그렇게 낮은 사람은 없었다는 것과 텐트에서 거두어진 스키 중에 아무도 그런 스키를 사용한 사람은 없었다는 것을 증언 했습니다. 350킬로미터의 긴 여정에서 종착점을 얼마 남겨 두지 않고 일어난 이 사고에 대해 여러 설들이 난무할 뿐, 그때 그곳에서 실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그들 만이 알고 있을 것입니다.
러시아에서 미스터리 중에 가장 큰 첫째는 얼음 혜성이 공중에서 폭발했다고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퉁구스폭발과 두번째가 바로 이 Dyatlov pass 비극 입니다.
다이하드, 클리프행어 등의 감독인 Renny Harlin 이 미국과 러시아의 합작 영화로 이 사건을 영화로 만들어, 2월 말 부터 미국을 비롯한 극장가에서 상영되고 있습니다.
'사랑하며 살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모스크바 (0) | 2013.06.27 |
---|---|
오리엔탈 고양이 (0) | 2013.06.16 |
러시아 수재들이 가는 대학 (0) | 2013.05.26 |
쎄씨야, 안녕... (0) | 2012.12.22 |
아내의 한국국적 취득 (0) | 2012.11.22 |
머리는 목에 따라서 (0) | 2012.11.18 |
단풍 (0) | 2012.10.20 |
댓글